분류 전체보기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admob 광고 게재 제한 material 3 디자인적용 후 몇주가 지났습니다. 에드몹에서 정책위반이라는 내용의 메시지가 왔습니다. 정책센터에 가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346295#Unnatural_attention_to_ads 해당 문서를 읽고 문제를 수정하라는 내용이였습니다. 문서의 "허용되지 않는 구현의 예" 를 보니 홈화면에서 광고보고 후원하기 버튼이 문제가 되는거 같았습니다. 문제가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고 판단했습니다. 1) "광고 보고 후원하기" 표현은 문제가 있다. 2) 해당버튼 클릭시 보상형 광고가 나오는데 그것에 대한 가이드가 없다. 3) 보상형 광고는 유져에게 광고를 보고 보상이 될만한 것을 줘야한다. 해결책을 찾아야 .. material design 3 적용 flutter 3.7 에서 업데이트된 내용중 material design 3 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내용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ThemeData 에 useMaterial3 옵션만 true 로 주면 되서 적용해 보았습니다. MaterialApp( theme: ThemeData( useMaterial3: true, ), ) 디자인 감각이 전혀 없어서 항상 플러터에서 제공해주는 디폴트 옵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왕 디자인을 변경하는 김에 앱내의 씬들을 좀 수정했습니다. 하단탭 3개 스피또 추천, 판매점 찾기, 후원하기를 두었습니다. 보상형 광고 후원하기 버튼을 첫화면으로 이동하였습니다. ( 이게 나중에 문제가 될거라고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 스피또 종류/회차 가 많아지면 "광고 보고 후원하기.. 개발자 이면서 기획자일때 발생하는 착각 (feat. 세 후 당첨금) 배포 후 뜻밖의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당첨금 아래에 숫자는 뭐야? " 기획자가 당연하다고, 사용자도 당연히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일입니다. 개발자와 기획자가 다른경우 기획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기획한것을 개발자가 개발할때 그렇지 않음을 피드백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프로젝트를 할때는 개발하는 사람이 동시에 기획을 하는 사람이 되기 때문에 착각을 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줄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저는 개발을 하면서 사용자가 당연히 당첨금아래 숫자가 실수령액이라고 안다고 무의식 중에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피드백을 받고 보니 좀더 자세하게 실수령액, 세금 등으로 표시하는게 좋을거 같았습니다. 이것저것 사용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화면을 변경해 보았습니다. 후보지는 세가지였습.. 스피또 종류/회차 공유하기 기능 기대값이 높은 스피또가 생겨 공유를 할때마다 스크린샷을 찍어서 하고 있었습니다. 공유하기 기능은 다른 앱에서도 많이 있지만 제가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라 잊고있었습니다. 하지만 몇번 스크린샷을 찍어서 공유하는 일이 반복 되자 기능을 구현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 떠올랐는데 그중 다음 순서로 작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 위젯을 이미지로 변환 2) 변환한 이미지를 공유 다행히 pub.dev 에는 구현을 할 패키지가 모두 있었습니다. 제가사용한 패키지 2개 입니다. 위젯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패키지 이미지 공유 위젯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패키지 인 widget_to_image 의 경우 버전이 낮아서 걱정을 했는데 테스트 결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구현결과물 입니다.. 외부패키지 관리 최근에는 외부패키지들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에서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플러터는 pubspec.yaml 파일에서 외부패키지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pubspec.yaml 에서 의존성패키지들을 관리할때 버전을 픽스하고 pubspec.lock 파일도 같이 관리해야합니다. 개인프로젝트여서 버전픽스 없이 항상 최신버전으로 올려서 사용을 하다가 이슈가 있었습니다. ios 와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에서 문제가 없어 스토어에 배포 했습니다. 배포한 이후에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현재위치 기능 사용시에 크래시가 나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pubspec.lock 파일도 관리를 하지 않았고 pubspec.yaml 도 최신버전으로 사용해서 문제가 되는 외부 패키지가 뭔지 어떤버전으로 롤백을 해야하는지 알수.. 당첨판매점 기능 당첨판매점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아직 앱에 기능이 적어서 버튼을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었습니다. 당첨판매점 기능을 판매점 지도에 플로팅버튼으로 두었습니다. 딱 떠오르는 화면구성이 없어서 일단은 감대로 배치시켜서 출시를 해봤습니다. 화면 배치 부분은 해답이 정해져 있지도 않고 개발자인 제가 고민을 해도 쉽게 알기 어렵습니다. 화면배치 뿐 아니라 어떤 기능을 구현할때 저는 일단 배포해보고 이상한점을 발견하거나 피드백 받는 방식을 좋아합니다. 첫번째 기능 배포 후 화면들 입니다. 기본적으로 최근 당첨 판매점과, 누적 당첨금 많은순의 전체 판매점 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당첨판매점 버튼이 맵의 플로팅버튼으로 있었기 때문에 당첨판매점을 선택하면 맵의 위치를 해당 판매점으로 옮겨주고 상세정보를 보여줬습니다. 일단 이.. 플레이 스토어 첫 번째 앱 리뷰, 하지만 노출되지 않는다. 구글 플레이는 배포한 앱에 플레이스토어 리뷰가 달리면 메일로 알려줍니다. 좋은 평가의 리뷰였는데 구글플레이 콘솔에서만 확인이 되고 플레이스토어에서는 노출 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노출되었으면 하는 마음도 있고 노출되지 않는 이유도 궁금해서 구글플레이에 문의를 해보았습니다. 빠른시간안에 답변이 메일로 왔습니다. 리뷰가 노출되려면 최소 5개는 있어야 한다는점과 그 외에 구글플레이 리뷰정책에 대해 설명해 줬습니다. 구글플레이에 문의하는것이 꽤 유용했습니다. 이외에도 특정시간엔 채팅으로 상담도 받는것으로 보였습니다. 판매점 찾기 기능 개선 출시 후 판매점 찾기 기능을 써보니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그 중 4가지를 먼저 개선 하였습니다. 1) 판매점 정보 화면 개선 - 주소와 상점이름 분리 2) 판매점 검색시 지번주소 검색 가능하도록 수정 3) 존재하지 않는 판매점, 목록에서 제외 4) 판매점 정보 화면에 사용한 패키지 변경 보통은 데이터 작업이 우선 되어야 화면을 그릴수 있습니다. 지번주소에 대한 데이터 작업을 하고 검색과 판매점 정보 화면을 수정했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판매점의 경우, 판매점 지도와 검색 모두에서 그려지지 않도록 서버에서 데이터 자체를 내려주지 않도록 수정했습니다. 1) 판매점 정보 화면개선 - 주소와 상점이름 분리 제일 윗줄에 판매점 이름을 볼드체로 적고 두번째 줄에 주소를 적도록 수정했습니다. 주소는 최근 도로명 주..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