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또 추천] 앱 개발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앱 출시 후 500, 1000 다운로드까지 걸린 시간 앱을 플레이스토어에 출시 후 간단한 마케팅만을 한 후 500다운로드와 1000다운로드 까지 걸린 시간시간 입니다. 출시: 2022년 6월 23일 500다운로드 달성: 2023년 2월 11일 1000다운로드 달성: 2023년 5월 20일 플레이스토어에 표시된 숫자는 이탈율을 고려하지 않은 숫자입니다. 예를들어 500명이 다운로드를 받고 300명이 앱을 삭제한 경우에도 500회 이상 다운로드로 표시가 됩니다. 1인 개발자 앱 마케팅 앱을 출시해보면 마케팅 없이는 모든 지표가 좋지 못함을 알게 됩니다. 출시 후 한참이 지난 뒤 마케팅 유/무 에 따른 유져 다운로드 혹은 사용성에 대한 지표 변화가 궁금해 지기 시작했습니다. 앱이 노출될 수 있을만한 가장 간단한 마케팅들을 시도해 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마케팅 목표를 정해야 했습니다. 마케팅으로 앱 노출을 증가시키고 그에따라 앱 다운로드까지 연결시키는걸 목표로 정했습니다. sns 마케팅의 경우 국내에서 10,20,30 대는 인스타그램이 가장 많은 트래픽을 발생하는걸로 확인했습니다. 40대 이상은 밴드를 많이 사용하는걸로 확인이 되서 2개 sns 플랫폼에 먼저 마케팅을 시작했습니다. 블로그 마케팅의 경우 국내시장엔 네이버블로그와 티스토리외에는 생각할게 없었습니다. 지금작성하고 있는 티스토리.. 앱 출시 후 1주일, 다운로드 지표 "스피또 추천" 앱을 22년 6월 23일에 플레이 스토어에 출시했습니다. 플레이 스토어 출시 후 마케팅 없이 1주일이 지났을 때의 앱 설치 지표입니다. 출시 후 아직 주변지인들에게 홍보하지 않은 상황이였습니다. 스토어 자체 검색만으로 사용자가 어느정도 유입되어 다운로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해당지표는 누적지표입니다. 하루 다운로드가 1명도 발생하지 않은 날이 많고 3일째에는 다운받은 한명도 설치를 삭제하였습니다. 내가필요한 만큼 다른사람도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막연한 기대도 조금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개인프로젝트에서 마케팅 없이는 일반적인 앱 출시에 높은 다운로드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플러터 os 글자 크기에 따른 앱 폰트 크기 대응 이전 포스팅 에서 os 글자 크기에 따라서 플러터로 만든 어플의 글자크기가 변경 되어 앱이 문제가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플러터가 안드로이드, ios 의 어플리케이션 글자크기를 기본으로 따라가기 때문에 생기는 이슈인데 테스트를 해보니 생각보다 심각하였습니다. 테스트는 안드로이드, ios 의 설정 에서 글자크기를 수정해서 앱에서 확인해보면 되는데 기본값보다 작은경우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큰경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준 설정 -> 디스플레이 -> 글자 크기와 스타일 -> 글자크기 ios 기준 설정 -> 디스플레이 -> 텍스트크기 조금 검색해보니 해결방법은 아주 간단했습니다. Material 위젯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면 os 의 글자크기와 무관하게 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chil..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 스크린샷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 등록하는 경우 스크린샷을 올릴 수 있습니다. 플레이스토어의 경우 앱 배포와는 별도로 스크린샷을 올리고 검수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앱스토어는 빌드를 배포할 때 같이 등록하게 됩니다. 스크린샷은 유져들이 이 앱이 어떤기능을 하는지 보여주는 화면이므로 잘 작성해서 업로드하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개발자의 경우 잘 만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는 온라인에서 스크린샷을 만들어주는 아래 2개 툴을 사용하였습니다. https://www.appstorescreenshot.com/ https://studio.app-mockup.com/ 전문 아티스트분들이 만든거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겠지만 저로서는 만족입니다. ㅎ admob 광고 게재 제한 해결 (feat. 배너제거 기능) admob 광고 게재 제한이 되었습니다. 1) "광고 보고 후원하기" 표현은 문제가 있다. 2) 해당버튼 클릭시 보상형 광고가 나오는데 그것에 대한 가이드가 없다. 3) 보상형 광고는 유져에게 광고를 보고 보상이 될만한 것을 줘야한다. 해당 문제를 해결해서 게재 제한을 풀기로 했습니다. 1) 번의 경우 2)번 3)번을 선작업 해야 해결하기 수월해 보였습니다. 3)->2)->1) 순으로 해결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3) 보상형 광고는 유져에게 광고를 보고 보상이 될만한 것을 줘야한다. 유져에게 줄만한 보상이 없어서 고민을 하다가 보상형 광고를 보면 배너 광고를 하루동안 제거해주기로 했습니다. 사용자에게 연속으로 광고를 보게 하고 싶지 않아 한번을 보면 한시간 후에 볼수 있고 최대 7일까지 배너 제거가 가능하.. admob 광고 게재 제한 material 3 디자인적용 후 몇주가 지났습니다. 에드몹에서 정책위반이라는 내용의 메시지가 왔습니다. 정책센터에 가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346295#Unnatural_attention_to_ads 해당 문서를 읽고 문제를 수정하라는 내용이였습니다. 문서의 "허용되지 않는 구현의 예" 를 보니 홈화면에서 광고보고 후원하기 버튼이 문제가 되는거 같았습니다. 문제가 있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고 판단했습니다. 1) "광고 보고 후원하기" 표현은 문제가 있다. 2) 해당버튼 클릭시 보상형 광고가 나오는데 그것에 대한 가이드가 없다. 3) 보상형 광고는 유져에게 광고를 보고 보상이 될만한 것을 줘야한다. 해결책을 찾아야 .. material design 3 적용 flutter 3.7 에서 업데이트된 내용중 material design 3 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내용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ThemeData 에 useMaterial3 옵션만 true 로 주면 되서 적용해 보았습니다. MaterialApp( theme: ThemeData( useMaterial3: true, ), ) 디자인 감각이 전혀 없어서 항상 플러터에서 제공해주는 디폴트 옵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왕 디자인을 변경하는 김에 앱내의 씬들을 좀 수정했습니다. 하단탭 3개 스피또 추천, 판매점 찾기, 후원하기를 두었습니다. 보상형 광고 후원하기 버튼을 첫화면으로 이동하였습니다. ( 이게 나중에 문제가 될거라고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 스피또 종류/회차 가 많아지면 "광고 보고 후원하기.. 이전 1 2 3 4 다음